반응형
어순 차이
→ 말씀하신 대로 영어는 SVO(주어-동사-목적어), 한국어는 SOV(주어-목적어-동사)라서 어순이 달라요.
단어 하나에 여러 뜻
→ 예: “get” 하나만 해도 수십 가지 뜻이 있어요.
관사(a, the)
→ 한국어에는 없는데 영어에서는 꼭 써야 하니까 헷갈려요.
시제 표현이 더 복잡함
→ 한국어는 과거/현재/미래 중심인데, 영어는 현재완료, 과거완료, 진행형 같은 게 많아요.
발음과 철자 불일치
→ 영어는 말하는 것과 쓰는 게 다를 때가 많아서 외우기 어려워요. (예: knight, colonel)
강세와 억양
→ 영어는 어떤 단어에 강세를 두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질 수도 있어요.
전치사 사용
→ in, on, at 같은 전치사는 한국어로 딱 맞게 번역하기 어렵고, 상황마다 쓰임도 달라서 헷갈려요.
문화적 배경 지식 차이
→ 영어 표현은 그 문화에 익숙해야 자연스럽게 이해되는 경우가 많아요. 예: small talk, sarcasm 등.
반응형
'외국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home에는 왜 전치사를 사용하지 않는가 (1) | 2025.06.11 |
---|---|
[영어]3인칭 동사에 S를 붙이는 이유와 명사 복수형에 S를 붙이는 이유 (0) | 2025.05.13 |
영어 불규칙 동사 (0) | 2025.05.12 |
3인칭 주어와 동사가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 (0) | 2025.04.30 |
甘み抜き 뜻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