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bot
Different Internet services are distinguished by using different TCP port numbers. Unencrypted HTTP normally uses TCP port 80, while encrypted HTTPS normally uses TCP port 443. To use certbot –webroot, certbot –apache, or certbot –nginx, you should have an
certbot.eff.org
위 사이트에 접속한다.
중간쯤 보면
My HTTP website is running
이라는 부분이 있다..
거기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서버의 WAS와 리눅스 종류를 선택한다.
나는 아파치고 우분투라서 그렇게 선택했다
선택하면 설치 설명 화면으로 넘어간다..
다음은 우분에서 아파치를 선택할때 설치 방법이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 sudo add-apt-repository universe
- sudo add-apt-repository ppa:certbot/certbot
- sudo apt-get update
그리고
sudo apt-get install certbot python-certbot-apache
이제 설치가 끝났다. 실행해보자..
#sudo certbot --apache
이렇게 하면 서버에 있는 모든 도메인들이 다 나온다.
이중에서 ssl을 적용하길 원하는 놈들만 선택해준다. 1,2,3,4 머 이런식으로 선택해주면 된다.
끝났다...
이걸 90일마다 갱신해줘야 하는데 귀찮으니까 자동으로 갱신되게 적용하자...
#sudo certbot renew --dry-run
이렇게 해주면 된다..
이제 도메인에 https를 붙여서 접속해보자..
놀랍다...
아 그리고 도메인을 삭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때는
#certbot delete
라고 하면 도메인이 나오는데 그중에 삭제할 도메인을 선택하면 된다.
삭제 후 다시 등록해주면 끝.
'개발은아니지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버추얼호스트 설정 (0) | 2021.01.20 |
---|---|
우분투 ubuntu에서 git으로 github에 작업한 파일 올리기 (0) | 2020.11.15 |
구글신을 믿자 (0) | 2019.08.01 |
무료 텔넷 프로그램 추천 - Termius (2) | 2019.05.29 |
크롬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이 안눌러지거나 글자를 복사하지 못할때 (0) | 2018.06.22 |